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는 대표적인 정책 금융상품입니다. 2025년에는 정부 기여금 매칭 한도가 월 40만 원에서 70만 원으로 확대되고, 소득 기준도 완화되어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.
하지만 어떤 은행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리와 우대 혜택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, 은행별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와 기본금리, 우대 조건, 실제 혜택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을 고민 중인 분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시고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은행을 선택해서 가입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.
👇 👇 👇
청년도약계좌란? 2025년 주요 변화와 혜택
청년도약계좌 핵심개념
청년도약계좌는 만 19~34세 청년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, 정부와 은행이 추가로 기여금을 매칭해주고 고금리 혜택까지 제공하는 자산형성 지원 상품입니다.
2025년 주요 변화 & 혜택
- 정부기여금: 소득구간별 최대 월 70만 원까지 매칭, 최대 3.3만 원
- 비과세 혜택: 3년 이상 유지 시 이자소득세 면제
- 장기 자산 형성: 5년 만기 시 목돈 마련 가능
- 유동성 보장: 2년 경과 후 누적 납입액의 40%까지 중도 인출 가능
- 신용평가 가점: 성실 납입 시
정부에서 제공하는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니 아직 없다면 바로 가입해보시기 바랍니다.
은행별 우대금리 및 기본금리
2025년 기준, 청년도약계좌의 기본금리는 은행별로 4~4.5%대에서 시작하며, 급여이체, 체크카드 사용, 자동이체 등 우대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1.0~1.7%p까지 추가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은행별 금리 비교 한눈에 보기
은행명 | 기본금리 (3년 고정) |
소득 우대금리 | 은행별 우대금리 | 최대금리(합산) | 모바일 링크 |
---|---|---|---|---|---|
NH농협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신한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우리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하나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IBK기업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KB국민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iM뱅크(대구) | 4.00% | 0.50% | 1.5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BNK부산은행 | 4.00% | 0.50% | 1.5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광주은행 | 3.80% | 0.50% | 1.7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전북은행 | 3.80% | 0.50% | 1.7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BNK경남은행 | 4.00% | 0.50% | 1.50%p | 6.00% | 👉 바로가기 |
- 기본금리: 3년간 고정 이후 변동금리 적용, 가입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
- 소득우대금리: 총급여 2,4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1,600만원 이하 청년에게 추가 제공
- 은행별 우대금리: 급여이체, 자동이체, 카드 실적 등 은행 자체 조건 충족 시 제공
- 최대금리: 기본금리 + 소득우대금리 + 은행별 우대금리
※ 실제 적용 금리는 가입 시점, 은행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니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.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 상세 분석
NH농협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급여실적 12 / 36 / 50개월 이상 : 0.10 / 0.30 / 0.50%p, 월별 50만원 이상인 경우 인정, 비연속적인 경우도 포함
- [마케팅동의] (가입직전) 마케팅 전체동의 고객 : 0.20%p
- [카드결제] 카드실적 월평균 20만원 이상 : 0.20%p - NH채움(개인신용/체크)카드 이용실적, 현금서비스 제외
- [거래감사] (가입직전 1년간) 농협은행 예적금(청약포함) 미보유 또는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: 0.10%p
신한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(건당 50만원 이상)이 30개월 이상인 경우 : 0.30 %p
- [카드결제] 카드(신용/체크) 결제실적이 30개월 이상 있는 경우 : 0.30 %p
- [첫 거래 우대]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정기예금, 정기적금, 주택청약 상품이 없었던 고객 : 0.40 %p
우리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월 50만원 이상, 가입기간의 1/2 이상 : 1.00%p
- [예적금 미보유]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정기예금 및 적금 미보유 : 0.50%p
- [카드결제] 카드(신용/체크) 결제실적(월 10만원 이상, 가입기간의 1/2 이상) : 0.50%p
* 만기해지 시점까지 우리은행 상품서비스 안내동의(SMS 및 휴대폰 전화) 및 적금 자동이체 유지 필수
하나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36회차 이상 급여 입금 또는 가맹점(결제)대금 입금실적을 보유한 경우 : 0.60%p
- [마케팅동의] 가입전 하나은행 상품, 서비스 마케팅 동의 항목 모두를 동의한 경우 : 0.10%p
- [카드결제] 월 합산 10만원 이상의 하나카드 결제 실적(신용/체크)을 보유한 경우 : 0.20%p
- [예적금 미보유] 이 예금 가입일로부터 직전1년간 적금 또는 예금을 미보유한 경우 : 0.10%p
IBK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(월 50 만원 이상) 36개월 이상인 경우 : 0.50%p
- [마케팅동의] 가입시점 상품서비스 마케팅 문자수신 동의 상태인 경우 : 0.10%p
- [지로/공과금] 지로/공과금 자동이체 실적(월 2건 이상) 36개월 이상인 경우 : 0.20%p
- [카드결제] 당행 신용(체크)카드 이용실적 연평균 200만원 이상 및 만기시점까지 보유한 경우 : 0.20%p
- [최초고객] 가입시점 최초신규고객에 해당하는 경우 : 0.30%p
KB국민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급여 입금 월수가 36회 이상인 경우 : 0.60%p
- [자동이체] 월 2건 이상의 공과금 또는 청년도약 LTE 요금제의 자동이체 월수 36회 이상 : 0.30%p
- [거래감사]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가입 고객 또는 가입일 기준 KB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 : 0.10%p
iM뱅크 우대조건
- [마케팅동의] (신규가입일) 마케팅동의 : 0.30%p
- [주택청약 보유] (가입 시점) 주택청약 보유 : 0.50%p
- [자동이체] (만기일)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 : 0.70%p
BNK부산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(가입기간 中 30개월이상 급여실적 보유 고객) : 0.50%p
- [카드결제] (가입기간 中 당행 BC카드(신용,체크) 실적 5백만원이상 보유 고객) : 0.50%p)
- [신규고객] (가입직전 3년간 부산은행 예*적금 가입이력 없는고객) : 0.50%p
광주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급여이체 입금실적 월 50만원 이상 30회이상인 경우 : 0.50%p
- [카드결제] (적금 가입일~만기 전월말)신용(체크)카드 이용액(매입기준) 5백만원 이상인 경우 : 0.50%p
- [신규고객] 최근 1년동안 본인 명의 당행 예적금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, 신규 또는 해지거래(신규취소제외)이력이 없는 경우
- [만기축하] 만기해지시 해지원금 3천만원 이상인 경우 : 0.50%p
전북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급여이체 입금실적이 총 계약기간의 1/2 이상인 경우 (월 1회 인정) : 0.70%p
- [마케팅동의] 신규시 마케팅동의한 경우 : 0.20%p
- [자동이체] 자동이체로 입금 실적이 총 계약기간의 1/2 이상인 경우 (월 1회 인정) : 0.30%p
- [카드결제] 당행 신용(체크)카드 사용실적이 총 계약기간의 1/2 이상인 경우 (월 1회 인정) : 0.50%p
BNK경남은행 우대조건
- [급여이체] 적금가입기간의 1/2 이상(30개월) 급여 50만원 이상 입금 : 0.70%p
- [주택청약 보유] 신규가입 시점 주택청약종합저축(청년우대형 포함) 보유 : 0.40%p
- [최초신규고객] 직전 1년간 예적금(주택청약종합저축) 신규 및 해지이력 미보유 : 0.40%p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표 (2025년 기준)
이 표를 참고하시면,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우대금리 조건을 갖춘 은행을 선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은행명 | 급여이체 | 마케팅 동의 | 자동이체 | 카드실적 | 최초거래 | 주택청약/특별항목 | 기타(청년희망적금 등) | 최대 우대금리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NH농협은행 | 0.1~0.5% (50만원↑, 기간별 차등) |
0.2% (가입 시 전체동의) |
- | 0.2% (NH채움카드 월평균 20만원↑) |
0.1% (예적금 미보유) |
- | 0.1% (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) |
1.0% |
신한 은행 |
0.3% (50만원↑, 30개월↑) |
- | - | 0.3% (신한카드 1원↑, 30개월↑) |
0.4% (예적금 미보유) |
- | - | 1.0% |
국민 은행 |
0.6% (50만원↑, 36개월↑) |
- | 0.3% (월2건↑, 36개월↑) |
- | 0.1% (주택청약 신규가입) |
0.1% (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) |
- | 1.0% |
우리 은행 |
1.0% (50만원↑, 30개월↑) |
가입기간 내 유지필수 | 자동이체 필수 | 0.5% (우리카드 10만원↑, 30개월↑) |
0.5% (예적금 미보유) |
- | ①,④,⑤ 합산 최대 1.0% | 1.0% |
하나 은행 |
0.6% (50만원↑, 36개월↑) |
0.1% (가입 시 전체동의) |
- | 0.2% (하나카드 10만원↑, 36개월↑) |
0.1% (예적금 미보유) |
- | - | 1.0% |
IBK기업은행 | 0.5% (50만원↑, 36개월↑) |
0.1% (문자수신 동의) |
0.2% (월2건↑, 36개월↑) |
0.2% (기업카드 연평균 200만원↑) |
0.3% (최초고객) |
- | ①,②,③,④,⑤ 합산 최대 1.0% | 1.0% |
iM뱅크(대구) | - | 0.3% (가입 시 전체동의) |
0.7% (자동이체 30개월↑) |
- | 0.5% (주택청약 보유) |
- | - | 1.5% |
부산 은행 |
0.5% (50만원↑, 30개월↑) |
- | - | 0.5% (BC카드 500만원↑) |
0.5% (예적금 미보유) |
- | - | 1.5% |
광주 은행 |
0.5% (50만원↑, 30개월↑) |
- | - | 0.5% (카드 500만원↑) |
0.5% (예적금 미보유) |
0.2% (해지원금 3천만원↑) |
- | 1.7% |
전북 은행 |
0.7% (50만원↑, 30개월↑) |
0.2% (가입 시 전체동의) |
0.3% (월1건↑, 30개월↑) |
0.5% (카드 1원↑, 30개월↑) |
- | - | - | 1.7% |
경남 은행 |
0.7% (50만원↑, 30개월↑) |
- | - | - | 0.4% (예적금 미보유) |
0.4% (주택청약 보유) |
- | 1.5% |
표 해설 및 참고사항
- 급여이체: 월 50만원 이상, 일정 기간 이상 유지시 우대금리 제공(은행별로 기간·금리 다름)
- 마케팅 동의: 상품/서비스 안내 전체 동의 시 우대금리 제공
- 자동이체: 공과금, 통신비 등 자동이체 실적 충족 시 우대금리 제공
- 카드실적: 해당 은행 신용/체크카드 이용실적 충족 시 우대금리 제공
- 최초거래/예적금 미보유: 최근 1년~3년간 예적금 미보유자, 신규고객 등에게 우대금리 제공
- 주택청약/특별항목: 주택청약 신규가입, 만기해지, 해지원금 등 특별조건 충족 시 우대금리
- 기타: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등 특수조건
※ 실제 적용 금리 및 조건은 은행 정책과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, 반드시 가입 전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청년도약계좌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이율(2025년 기준)
은행명 | 중도해지이율(3년 이상 유지) |
---|---|
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 | 4.5% |
iM뱅크(구 대구), 부산, 경남 | 4.0% |
광주, 전북 | 3.8% |
- 적용기준: 3년 이상 계좌 유지 후 중도해지 시
- 이자소득 비과세, 정부기여금 일부(60%) 수령 가능
- 기본금리 변동 시 중도해지이율도 변동 가능
- 2024년 4월 이전 기존 가입자도 동일하게 적용
추가설명
- 3년 미만 해지 시에는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이 제한되지만, 3년 이상 유지하면 중도해지해도 비과세 혜택과 정부기여금 일부(60%)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중도해지이율은 기존 1~2%대에서 2024년 5월부터 대폭 상향되어, 시중은행 3년 만기 적금금리(3.0~3.5%)보다 높은 수준으로 보장됩니다.
- 특별중도해지(혼인, 출산, 주택구입 등) 사유에 해당하면 가입기간과 관계없이 이자·비과세·기여금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정리
청년도약계좌를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면, 은행별로 3.8~4.5%의 금리와 비과세, 기여금 일부(60%)까지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시중 적금보다 유리한 조건으로, 중도해지 리스크가 크게 줄어든 것이 특징입니다.
정보 이용시 유의사항 안내
- 본 비교공시 정보는 은행의 청년도약계좌의 금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참고로 제공되고 있습니다.
- 공시된 금리는 세후 금리이며, 자세한 내용은 "상세정보"를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 은행과 연합회는 공시정보의 최신화를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지만, 정보의 변경과 공시의 시차로 다소 지연 공시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거래은행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'정부 지원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& 만기 수령액 계산 (1) | 2025.05.09 |
---|---|
청년도약계좌 심사 빠르게 받는 방법 (2) | 2025.05.09 |
근로장려금 지급일, 지급액 & 이의신청 방법 (1) | 2025.05.08 |
실업급여 신청하기 (2) | 2025.04.26 |
실업크레딧 신청하기 (0) | 2025.04.26 |
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하기 (0) | 2025.04.26 |
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 시 꼭 해야 할 일 (2025년 최신 가이드) (1) | 2025.04.23 |
자녀장려금 신청자격, 신청방법 (1) | 2025.04.22 |